현대 의약품(양약)은 다양한 원료를 바탕으로 제조됩니다. 일부는 자연에서 추출된 성분을 기반으로 하고, 일부는 화학적으로 합성된 성분으로 만들어집니다. 이번 글에서는 의약품(양약)의 원료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고, 천연물 의약품과 합성 의약품의 차이, 제조 과정, 그리고 우리가 흔히 접하는 약들의 원료가 어디서 유래했는지 설명하겠습니다.
양약의 원료는 크게 천연물 기반 원료와 합성 화학 원료로 나눌 수 있습니다.
과거에는 모든 약이 자연에서 얻어진 물질을 기반으로 했습니다. 오늘날에도 많은 약이 자연에서 유래된 성분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천연물 기반 원료는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습니다.
<식물 유래 원료>
① 과거 아스피린(Aspirin): 버드나무 껍질에서 추출된 살리실산을 기반으로 합성
② 모르핀(Morphine): 양귀비(Opium Poppy)에서 추출되는 강력한 진통제
③ 파클리탁셀(Paclitaxel): 주목나무(Yew Tree)에서 유래된 항암제
<동물 유래 원료>
① 인슐린(Insulin): 과거에는 돼지나 소의 췌장에서 추출하여 당뇨병 치료제로 사용
② 항응고제(헤파린, Heparin): 돼지의 장 점막에서 추출
<미생물 유래 원료>
① 페니실린(Penicillin): 푸른곰팡이에서 추출된 최초의 항생제
② 스트렙토마이신(Streptomycin): 방선균(Actinobacteria)에서 발견된 결핵 치료제
<광물 유래 원료>
① 제산제(마그네슘 하이드록사이드, 탄산칼슘 등): 천연 광물에서 얻어져 위산을 중화하는데 사용
② 리튬(Lithium carbonate): 조울증(양극성 장애) 치료제로 사용
현재 대부분의 약품은 화학적으로 합성된 성분을 사용합니다. 천연물에서 추출한 원료를 개량하거나, 전혀 새로운 분자를 설계하여 만들어진 약들이 이에 해당합니다.
① 현재 아스피린(Aspirin): 현재는 버드나무에서 직접 추출하지 않고 실리실산을 화학 합성하여 제조(최초의 합성 의약품)
② 프로프라놀롤(Propranolol): 고혈압과 심장질환 치료제로 사용되는 완전 합성 약물
③ 로라타딘(Loratadine, 항히스타민제): 알레르기 치료를 위해 개발된 화학 합성 항히스타민제
합성 의약품의 장점은 대량 생산이 가능하고, 순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안정성이 뛰어나다는 것입니다.
구분 | 천연물 의약품 | 합성 의약품 |
원료 | 식물, 동물, 미생물, 광물 | 화학 물질을 합성하여 제조 |
생산 방식 | 자연에서 추출 후 정제 | 실험실에서 화학 반응을 통해 합성 |
장점 | 자연 유래 성분, 생리활성 가능성 높음 |
대량 생산 가능, 일정한 효과 유지 |
단점 | 원료 확보 어려움, 가격 높을 수 있음 |
일부 부작용 가능성 |
과거에는 천연물에서 약을 얻는 것이 일반적이었으나, 현재는 보다 효과적이고 안전한 화학 합성 의약품이 많이 개발되고 있습니다.
양약이 만들어지는 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신약 후보 물질 탐색: 천연물 또는 화학적 합성을 통해 치료 효과가 있는 물질을 연구
2) 전임상 연구(실험실, 동물 실험): 약물의 효과와 안전성을 평가
3) 임상 시험(사람 대상 테스트): 3단계에 걸쳐 사람에게 시험하여 효과와 부작용 검증(시판 후 4단계 진행)
4) 허가 및 생산: 각국의 의약품 규제기관(FDA, 식약처 등)에서 승인 후 대량 생산
5) 시판 후 감시: 실제 사용 후 부작용 모니터링 및 추가 연구 진행
이 과정은 평균적으로 10~15년이 소요되며, 신약 하나를 개발하는데 수천억 원 이상의 비용이 들어갑니다.
최근에는 바이오 의약품이 각광받고 있습니다.
바이오 의약품은 생체 유래 물질(단백질, 항체, 세포 등)을 이용한 약물로, 대표적인 예시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유전자 치료제: 특정 유전자를 조작해 질병 치료(유전자 치료)
2) 항체 치료제: 면역계를 조절하는 항체 기반 약물(면역항암제)
3) mRNA 백신: 코로나19 백신처럼 유전 정보를 이용한 의약품
앞으로도 천연물과 합성 화학, 바이오 기술이 융합된 신약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질 전망입니다.
양약의 원료는 천연물 기반 원료(식물, 동물, 미생물, 광물)와 합성 화학 원료로 나뉘며, 현재는 대부분의 약이 화학적으로 합성되어 생산됩니다. 천연물에서 유래한 약도 화학 합성을 거쳐 대량 생산되는 경우가 많으며, 최근에는 바이오 기술이 접목된 신약이 개발되고 있습니다.
의약품의 발전은 더 효과적이고 안전한 치료법을 제공하는 방향으로 계속될 것이며, 미래에는 유전자 치료제나 바이오 신약이 더 많은 질병을 치료하는데 기여할 것입니다.
아침형 인간 vs 저녁형 인간 (4) | 2025.03.17 |
---|---|
과일, 껍질째 먹여야 할까? 그냥 먹을까? (0) | 2025.03.16 |
황사와 미세먼지의 원인부터 관리 방법의 모든 것 (3) | 2025.03.16 |
간에 영향을 주는 약물 종류 및 간 질환과의 관계 (2) | 2025.03.14 |
과일 속 당, 몸에 안 좋을까? 진실과 오해 (0) | 2025.03.08 |
하루 당 섭취량, 얼마나 먹어야 건강할까? (3) | 2025.03.08 |
동체시력, 빠른 물체를 보는 능력의 비밀 (1) | 2025.03.06 |
항산화 성분의 종류와 기능, 항산화 점수? (1) | 2025.03.04 |